청산도 구들장논

본문 바로가기
구들장논 소개청산도 주민들과 함게 구들장논 보전에 힘을 모아주세요!

구들장논은 한국 전통 난방법인 온돌(구들)과 유사한 구조를 보입니다. 온돌 구조에서 아궁이와 구들돌이 열전달과 불의 세기를 조절한다면 구들장논은 통수로와 판석 형태의 돌이 물의 양과 방향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집니다. 구들장논은 상류지역 수원의 물이 상부 논에서 하부 논으로 흐르는 물길을 따라 연속적인 계단 형태를 띠며 논에 필요한 용수를 관개합니다.

구들장논은 청산도 내에서도 사질토양이 발달한 동부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물의 활용이 용이하도록 내부구조가 층을 이루어 조성되어 있습니다.

구들장논의 하부 구조인 '석축'은 크고 작은 돌을 성기게 배치해 돌을 경제적으로 사용토록 축조 되었습니다. 논의 앞쪽 석축은 토양층이 무너지지 않게 토양층보다 약간 높게 쌓고, 높이는 평균 1~1.5m이며 높은 곳은 3m까지도 나타납니다. 경사가 심한 곳은 석축 중간 부분에 평평한 돌을 놓고 그 윗부분의 돌을 한단 안으로 들여쌓아 올림으로써 석축의 무너짐을 방지하는데 이를 '중대'라고 합니다.

구조와 조성방식

구조와 조성방식

석축 하부에는 '통수로'라고 하는 수구형 배수구조가 나타나는데 이는 물의 흐름을 고려하여 석축 하부 또는 중간에 물이 빠지는 공간을 확보하고 그 위에 판석형태의 돌(구들)을 얹어 정방형으로 조성하였으며 보통 3~10m 깊이로 뚫려있습니다. 통수로 앞에는 '샛똘'을 놓아 좁은 수로로 물길을 돌리는데 흘러내려 온 물을 하부 논에 채울 때는 샛똘을 열고 논에 물을 대고 물을 댈 필요가 없을 때는 물길을 막아 흘려보냅니다. 또한, 상부 논의 통수로에서 바로 하부 논으로 흘려보내는 '수직 통수로(수직수구)'가 나타나는 곳도 있습니다. 통수로는 논이 있는 곳의 수량과 물의 흐름에 따라 위치와 개수, 크기가 모두 다르게 나타납니다.

구들장논의 하부석축 위에 용수침탈을 막고 논에 물을 잡기 위한 '혼합토층(밑복글)'을 조성합니다. 이는 작은 돌과 흙을 혼합하여 약 20~30cm로 깔고 물을 넣어가며 괭이나 삽을 이용해 밟거나 다진 층으로 물이 아래로 빠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혼합토층 상부에는 작물의 생육을 담당하는 토양층인 '표토층(윗복글)'을 조성하며 약 20~30cm의 흙을 덮습니다.

청산도 구들장논은 외형적으로 일반 계단식 논과 유사한 형태를 보입니다. 그러나 일반 계단식 논은 논으로 유입된 용수가 지표면으로 용·배수되고 논의 기초 부분에 흙과 돌을 섞어 단을 형성했지만 구들장논은 용·배수를 위한 지하 관개구조인 통수로 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구조와 조성방식

청산도 구들장논과 일반 계단식논의 차이점

구분 일반 계단식논 청산도 구들장논
분포 지리산 및 경남 산청군, 함양군 일원
남해 해안 일부지역 및 기타 산간내륙 일부지역
전남 완도군 청산면 전역
(부흥리, 양지리, 상서리 일대 집중 분포)
위치 주로 산악지역이나 경사지에 분포
조건불리지역에 주로 위치
일반 계단식 논과 동일
외형 계단식논의 형태, 지표 용·배수로 구조
기초 부분이 흙과 돌로 조성되어 있음
계단식논의 형태, 통수로 존재
기초 부분이 주로 돌(구들)로 조성되어 있음
내부구조 주로 흙에 사용
지하에 특별한 구조물은 없음
주로 구들장을 사용
돌기둥 및 구들장 구조가 발견

농어업인이 오랜 기간 동안 형성 · 진화시켜 온 보전 · 유지 및 전승할만한 가치가 있는 전통적 농어업 활동과 시스템 및 그 결과로 나타난 농어촌 경관 등 모든 산물을 뜻합니다.
  • 주소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면 청산로1613번길 20
  • 고유번호521-10-00506
  • 연락처061-555-2292(보존협의회 사무국) / 061-552-9388(청산농협)
  • COPYRIGHT © 청산도 구들장논. ALL RIGHTS RESERVED.